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GeoGebra | 복소수 tetration 연산 list 계산 Sequence와 Iteration 명령어를 사용하면 GeoGebra에서 복소수 수열을 매우 간편하게 계산하고 plot 할 수 있다. 우선은, 각 명령어들의 문법을 이해해보자. 만약 등비수열 {1, 2, 22, 23, … , 2100 }을 만들고 싶다면, Sequence를 사용하면 된다 : Sequence(2k, k, 1, 100) 경우에 따라서는 Sequence만으로도 복소수 plot이 가능하다 : Iteration은 같은 연산을 반복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Iteration(a+3,a,{7},10)은 ‘이전항에 3을 더하는 연산을 10번하라 (초항=7)’는 뜻이고, 그 결과는 37이다[1]. Iteration과 Sequence가 무슨 차이인지 의문스러운 독자분들이 계실 것 같은데, 경우에 따라.. 더보기
왜 <부분과 전체>인가? 는 20세기 초 양자역학 탄생에 주도적 역할을 한 하이젠베르크의 저서이다. 자연과학사엔 수많은 이정표가 있지만, 그 표지를 세운 사람이 직접 자신의 삶과 업적전반을 회고한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의 가치는 그 지점에서 더욱 빛난다. 그런데 왜 인가? 나는 그것을 처음부터 끝까지 꼼꼼히 다 읽었지만, 제목에 대한 언급은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이 책의 영문번역본 타이틀은 이다. 아마 영문번역자는, 제목에 대한 원작자의 코멘트가 없었기에 굳이 원제목을 따를 필요가 없다 느낀것 같다. 유영미 번역가가 번역한 한국어판에는 김재영 박사의 해제가 수록되어있는데, 해제 마지막 소제목이 바로 ‘왜 부분과 전체일까?’이다. 김재영 박사는 고대 그리스 철학이나 괴테의 자연철학 등을 통해 그 답을 설명하려 한다. 나는 .. 더보기
YouTube Music에 없어서 아쉬운 옛날 앨범들 ⟨Just My Way⟩ — Eddie, 2005 지니뮤직 1. Hellow (My Name is Eddie) 2. Groovin 3. 그때는 왜 몰랐었는지 4. 좋은 냄새도 … 5. 왜 그래 6. Do U Wanna Fall in Love 7. Love Song 8. 하루 9. 키스해 주겠니 10. 편지 11. Music 12. Paradise ⟨Take Two⟩ — D.N.S, 2002 벅스뮤직 1. Intro 2. The Front Line 3. 이번달에 4. Love Is Love 5. Hiphop In Me 6. 실력1977 (The Shillest) 7. 쿵짝 8. Nite Out 9. 모든의미 10. 이번달에 (feat. 주석) 11. Outro ⟨Coffe Calls For A Cigare.. 더보기
고등 물리교과서 '빛거울 문제' 비판 나는 고등학생들을 위한 수학/물리강의를 준비하고 있다. 교육적 효과와 재미 둘 다 놓치지 않으려다보니 매번 뭔가를 만들어 내놓는 기간이 길어지는데, 강의는 훨씬 더한것 같다. 강의를 만들어야겠단 생각은 수년전부터 해왔으나, 한과목 전체 커리큘럼에 대한 강의시리즈를 만드는건 너무나 큰 일이란걸 느꼈다. 그러다 독립적으로 떼어내어 만들 수 있을만한 주제를 찾기 시작했고, 고등학교 물리에서는 상대론 대단원 ‘역학과 에너지’에서 ‘시공간 에너지’ 부분, 대학수학에서는 Lagrange multiplier와 Legendre transformation에 대한 강의를 준비하고 있다. 헌데, 상대론강의를 만들기위해 본 고등학교 물리교과서는 너무나 실망스러웠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광속의 불변의 원리를 가르치기 위해 교과서.. 더보기
Epidemic Sound vs Artlist — 롱텀리뷰 어떤 영상을 만들던, 소리는 매우매우 중요하다. 그 중요성을 모르고선 절대 좋은 영상을 만들 수 없다 생각한다. 필자가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면서 주되게 고려하는 소리관련 3대 요소는 마이크 음질 / 음향효과[1] / 배경음악인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2년여 동안 배경음악 소스로 사용한 Epidemic Sound 이하 ES와 Artlist 이하 AL에 대해 리뷰해보려 한다. 필자가 느끼기에 ES와 AL은 배경음악 소스의 양대산맥이다. 물론 유튜브에 찾아보면 꽤나 괜찮은 무료 BGM들이 있고, YouTube Audio Library[2]도 한가지 훌륭한 소스다. 하지만 영상제작을 보다 더 전문적/장기적으로 하다보면, 그런 무료소스의 한계를 절감하게 될 것이다. 나는 처음에 ES로 시작했지만, 지난 1년여.. 더보기
\( _{}^{\infty}\sqrt{2}\)에 대한 흥미로운 성질들 ‘무한지수탑 함수 infinite power tower function’는 대단히 신비로운 함수다. 나는 간단한 퀴즈 형식의 유튜브 영상을 만드는 과정에서 이 함수를 처음 만나게 되었는데, 그 제작과정은 자연스럽게 무한지수탑 함수에 대한 탐구로 이어졌다. 그 유튜브영상은 백만뷰를 넘으며 예상치 못한 관심을 받았다. 그 과정속에서 알게된 사실들을 통해 만든 두개의 쇼츠영상#1, #2 또한 도합 300만뷰를 넘었고, 내가 느낀 신비로움이 나만이 느끼는 무언가는 아니란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아직 그 신비로움은 끝나지 않았다. 나는 이번 포스팅을 통해 \( \sqrt{2} \)의 무한층[1] \(\sqrt{2}^{\sqrt{2}^{\sqrt{2}^{\cdot ^{\cdot ^{\cdot}}}}}\.. 더보기
After Effects에서 케플러법칙을 만족하는 행성운동 시각화 케플러 2법칙에 맞게 행성의 운동을 시각화 하는것은 생각보다 간단치 않다. chat GPT에 물어보면, 아마도 타원을 극좌표로 표현한 후 \( \theta \)에 time depence를 넣은 코드를 주면서 그걸 position에 입력하라고 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그건- 타원위를 따라 도는 animation은 맞지만, 케플러법칙에 맞게 동일시간-동일면적을 따르는 motion은 아니다. 나는 chat GPT와의 수차례의 상호작용을 통해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는데, 다음 code를 position에 입력하면 된다 : var a = 300; // Semi-major axis var e = 0.5; // Eccentricity var n = 2; // Mean motion (adjust as needed) .. 더보기
기후위기론은 선전선동이라는 기사를 보고.. 얼마전, 다음과 같은 기사제목이 나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기후위기론은 선전·선동, 실존적 위협 아냐”… 세계적 석학 입 열었다. 여지껏 침묵하고 있던 어떤 세계적 석학이 기후위기론의 진실을 폭로 한 것 같이 느껴지는 제목이었지만, 내용을 읽고나선 쓴웃음을 지을 수 밖에 없었다. 제목에 소개된 ‘세계적 석학’은 1983년부터 2013년까지 MIT에서 근무한 리처드 린젠 Richard Lindzen 교수이다. 그는 온실가스로 인한 해수온도 상승이 구름형성에 영향을 끼쳐 오히려 그것이 결과적으로 온난화영향을 상쇄한다는 ‘홍체 가설 iris hyphothesis’을 제시했다. 그가 홍체가설을 제시한것은 2001년이며, 이는 당시 한국언론에도 보도되었다[1]. 당시 기사에는 다음과 같은 린젠교수의 주장이 실려있.. 더보기